라운드로빈(Round Robin)
-> 세션을 각 서버에 순차적으로 맺어주는 방식. 순서에 따라 세션을 할당하므로 경우에 따라 경로별로 같은 처리량이 보장되지 않음
-> 기본적인 로드밸런싱 옵션으로 Request 가 서버마다 균등하게 라우팅됨
가중치 기반(Weighted Round Robin)
-> 한 서버에 40%, 다른 서버에 60%의 쿼리를 보내서 특정 리소스 레코드 집합이 선택될 확률을 사전에 지정한 가중치의 비율로 지정하여, 해당 리소스에 접속할 확률을 조정
-> 라운드로빈 알고리즘에 가중치가 추가된 알고리즘으로 서버 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를 지정 할 수 있음
-> 실제 서버의 성능 차이로 인한 가중치 기반 라운드로빈 스케줄링을 사용하면 동적스케줄링 방식보다 스케줄링의 부담이 적어짐
리스트커넥션(Least Connection)
-> 가장 적은 서버로 요청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
-> 부하가 적은 서버를 우선적으로 접속 처리를 할 수 있으며, 비슷한 성능의 서버로 구성된 경우에 효과적
-> 커넥션은 동일하지만 서버 처리량은 다를 수 있어서 서버들 사이에 누적 커넥션 불균형 발생 가능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mazon AWS CertifiedSolutions Architect -Associate AWS Associate 요약정리 (0) | 2022.10.26 |
---|---|
SQLD 요약 정리 (0) | 2022.10.26 |
HACMP , PowerHA (0) | 2022.08.24 |
Oracle Webserver OHS OHS:2079 Client SSL handshake error, nzos_Handshake returned (0) | 2022.07.21 |
SQLD 자격증 시험 후기 (0) | 2021.09.01 |